3천만 원대 가성비 전기차 아토3
테슬라, 가격 내린 모델Y로 반격 개시
전기차 구매를 앞둔 소비자들 사이에서 ‘테슬라 모델 Y vs BYD 아토3’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테슬라는 최근 신형 모델 Y를 출시하며 최저 5,299만 원으로 가격을 인하했다. 국고·지자체 보조금을 감안할 경우 실구매가가 4,000만 원대 중후반까지 낮아졌다.
이에 맞서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는 아토3를 3,190만 원부터 출시했다. 보조금 적용 시 2천만 원대 후반까지도 구입 가능해지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선 두 모델 사이에서의 현실적인 고민이 본격화되고 있다.
두 차량 모두 전기 SUV 시장에서 가성비와 기술력을 갖춘 대표 주자로 평가된다. 실제 구매를 앞둔 소비자를 위해 가격, 보조금, 유지비, 성능, 편의사양 등을 기준으로 비교해봤다.

가격·보조금 아토3가 최대 2천만 원 저렴
테슬라 모델 Y RWD 트림은 5,299만 원으로 책정됐다.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기준선(5,300만 원 미만)에 맞춘 가격으로, 서울 기준 약 300만 원의 보조금을 받을 경우, 실구매가는 약 4,900만 원 수준이다.
반면 BYD 아토3는 기본형 3,190만 원, 상위트림 3,290만 원으로 출시됐다. 보조금을 반영하면, 약 2,700만 원대까지 실구매가가 내려간다. 단순 가격만 비교하면 BYD가 테슬라보다 2천만 원 가까이 저렴하다.

충전비 큰 차이 없어… A/S 인프라는 테슬라 우위
테슬라 모델 Y는 전비가 약 5.6km/kWh, BYD 아토3는 약 5.1km/kWh 수준으로 월 1,500km 주행 기준 충전 비용은 약 4~5만 원 선으로 차이가 크지 않다.
하지만 A/S 인프라는 테슬라가 앞선다. 테슬라는 직영 서비스 센터와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갖춘 반면, BYD는 국내 공식 파트너사를 통한 정비체계로 시작하는 단계다.

주행거리·출력은 테슬라 우세
- 모델 Y 롱레인지: 약 476km / AWD / 제로백 5.0초
- 아토3: 약 420km(유럽 기준) / FWD / 제로백 7.3초
테슬라는 AWD 기반의 안정된 주행 성능과 자율주행 기능, OTA(무선 업데이트), 전용 앱 등 차세대 기능을 갖춘 고성능 전기차로서의 강점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
반면 BYD는 자사의 ‘블레이드 배터리(LFP)’를 사용해 안전성과 수명에 강점이 있으며, 실속형 패밀리 SUV로 부드러운 주행감과 효율적인 실내 공간을 장점으로 내세운다.


내부 편의사양 강화한 Y, 독창적 디자인 앞세운 아토3
신형 모델 Y 주니퍼에는 앰비언트 라이트, 통풍시트, 후석 디스플레이 등 프리미엄 사양이 대거 적용되며 상품성이 대폭 강화되었다.
아토3는 독창적인 인테리어 디자인, 회전형 디스플레이, 넉넉한 트렁크 공간 등 차급 대비 훌륭한 공간 활용성과 감각적인 내부 구성을 갖췄다.
두 차량 모두 내부 구성에 신경쓴 게 보인다. 감성 만족을 원한다면 모델Y, 실속과 개성을 원한다면 아토3가 어울린다.
성능 중시 vs 예산 중시, 취향에 따라 갈린다..!
이번 테슬라 모델 Y의 가격 인하는 BYD를 비롯한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국내 시장 진입 가속화를 의식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특히 BYD는 올해 아토3를 필두로 씰, 돌핀, 시라이언7 등 4종의 전기차 라인업으로 국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
두 모델 모두 가격 대비 상품성이 뛰어나지만, 선택 기준은 명확하다. 가격에 민감하면서 실속형 전기차를 선호한다면 비야디 아토3, 기술력과 성능 브랜드 신뢰까지 신경쓴다면 테슬라 모델 Y다.
전기차 시장은 이제 기술 경쟁을 넘어 ‘가격 전쟁’에 접어들었다. 테슬라 모델 Y의 가격 인하, BYD의 공격적인 출시는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전기차 구매의 기준 자체를 바꾸고 있다. 예산, 주행 거리, 충전 인프라 등 나에게 맞는 조건을 꼼꼼히 따져야 할 때다. 당신에게 더 잘 맞는 전기차는 어떤 모델일까?
👉 비야디 아토3 가격, 보조금, 장단점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