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확인이 필요하신가요? 최근 발생한 인천 청라 아파트 전기차 화재 사건으로 인해 전기차에 대한 불안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사에 배터리 정보를 공개하도록 권고했는데요. 국내 현대기아차 뿐만 아니라 수입차 브랜드에서도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 공개된 자동차 브랜드 별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를 아래와 같이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브랜드 별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확인
현대 자동차
차종 | 배터리 제조사 |
---|---|
아이오닉5 (NE, PE, NE N) | SK온 |
아이오닉6 CE | SK온 (22.7~22.12) SK온, LG에너지솔루션 (23.1~23.5) LG에너지솔루션 (23.6~) |
GV60 JW | SK온 |
G80 (RG3 EV) | SK온 |
GV70 (JK EV) | SK온 |
코나 (SX2 EV) | CATL (중국) |
ST1 (TSD-A01) | SK온 |
캐스퍼 (AX EV) | LG에너지솔루션 |
코나 (OS EV) | SK온, LG에너지솔루션 |
아이오닉 (AE EV PE) | LG에너지솔루션 |
아이오닉 (AE EV) | LG에너지솔루션 |
포터 (HR EV) | SK온, LG에너지솔루션 |
카운티 일렉트릭 (CS EV) | SK온 |
일렉시티 타운 (GY EV) | SK온 |
일렉시티 (CY) | LG에너지솔루션 (17.12~21.7) |
일렉시티 PE (CY PE) | SK온 (21.8 ~) |
일렉시티 이층버스 (JO4) | LG에너지솔루션 |
기아 자동차
차종 | 배터리 제조사 |
---|---|
레이 EV (TAM / ‘11.12 ~’ 17.12) | SK 온 |
레이 EV (TAM / ‘23.4 ~ ) | CATL (중국) |
니로 EV (DE / ‘18.7 ~ ‘21.12) | SK 온, LG 에너지솔루션 |
니로 EV (SG2 / ‘22.6 ~ ) | CATL (중국) |
니로 플러스 | SK 온 |
EV3 (SV) | LG 에너지솔루션 |
EV6 (CV) | SK 온 |
EV6 GT | SK 온 |
EV9 (MV) | SK 온 |
봉고Ⅲ EV (PU) | SK 온, LG 에너지솔루션 |
쏘울 EV (PS / ‘14.1 ~ ‘18.9) | SK 온 |
쏘울 EV (SK3 / ‘19.2 ~ ‘20.11) | SK 온, LG 에너지솔루션 |
KG 모빌리티 (쌍용차)
차종 | 배터리 제조사 |
---|---|
토레스 EVX | BYD (중국 비야디) |
코란도 EV | BYD (중국 비야디) |
벤츠 전기차
차종 | 배터리 제조사 |
---|---|
Mercedes-Benz EQC 400 4MATIC | LG |
Mercedes-Benz EQA 250 | CATL (중국) / SK온 |
Mercedes-Benz EQB 300 4MATIC | SK온 |
Mercedes-Benz EQE 300 | CATL (중국) |
Mercedes-Benz EQE 350+ | Farasis (중국) |
Mercedes-AMG EQE 53 4MATIC+ | Farasis (중국) |
Mercedes-Benz EQE 350 4MATIC | Farasis (중국) |
Mercedes-Benz EQE 500 4MATIC SUV | Farasis (중국) |
Mercedes-Benz EQE 350 4MATIC SUV | CATL (중국) |
Mercedes-Benz EQS 350 | Farasis (중국) |
Mercedes-Benz EQS 450+ | CATL (중국) |
Mercedes-Benz EQS 450 4MATIC | CATL (중국) |
Mercedes-AMG EQS 53 4MATIC+ | CATL (중국) |
Mercedes-Benz EQS 450 4MATIC SUV | CATL (중국) |
Mercedes-Benz EQS 580 4MATIC SUV | CATL (중국) |
Mercedes-Maybach EQS 680 SUV | CATL (중국) |
BMW 전기차
차종 | 배터리 제조사 |
---|---|
BMW iX1 | CATL (중국) |
BMW i3 (단종) | 삼성 SDI |
BMW iX3 | CATL (중국) |
BMW i4 eDrive40 | 삼성 SDI |
BMW i4 M50 | 삼성 SDI |
BMW i5 eDrive40 | 삼성 SDI |
BMW i5 M60 | 삼성 SDI |
BMW iX xDrive40 (단종) | CATL (중국) |
BMW iX xDrive50 | 삼성 SDI |
BMW iX M60 | 삼성 SDI |
BMW i7 xDrive60 | 삼성 SDI |
BMW i7 eDrive50 | 삼성 SDI |
BMW i7 M70 | 삼성 SDI |
아우디 전기차
차종 | 배터리 제조사 |
---|---|
e-tron S | 삼성 SDI |
e-tron S Sportback | 삼성 SDI |
e-tron 50 quattro | LG 에너지솔루션 |
e-tron 55 quattro | LG 에너지솔루션 |
e-tron 55 quattro | 삼성 SDI |
e-tron Sportback 50 quattro | LG 에너지솔루션 |
e-tron Sportback 55 quattro | 삼성 SDI |
e-tron GT quattro | LG 에너지솔루션 |
RS e-tron GT quattro | LG 에너지솔루션 |
Q4 40 e-tron | LG 에너지솔루션 |
Q4 Sportback 40 e-tron | LG 에너지솔루션 |
Q8 50 e-tron quattro | 삼성 SDI |
Q8 55 e-tron quattro | 삼성 SDI |
Q8 Sportback 55 e-tron quattro | 삼성 SDI |
폭스바겐 전기차
모델 | 배터리 제조사 |
---|---|
ID.4 Pro / Lite | LG 에너지솔루션 |
지프(JEEP) / 푸조 전기차
차종 | 배터리 제조사 |
---|---|
랭글러 4xe (PHEV) | 삼성SDI |
그랜드 체로키 4xe (PHEV) | 삼성SDI |
어벤저 (9월 출시 예정) | CATL (중국) |
푸조 e-208 | CATL (중국) |
푸조 e-2008 | CATL (중국) |
DS 오토모빌 (DS 3 E-TENSE) | CATL (중국) |
볼보 전기차
차종 | 배터리 제조사 |
---|---|
XC40 리차지 | LG에너지솔루션 |
C40 리차지 | LG에너지솔루션 |
폴스타2 | LG에너지솔루션 |
폴스타4 | CATL (중국) |
지금까지 공개된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를 보면, 국내(LG, SK, 삼성)배터리를 쓰는 곳이 약 65%, 중국산 배터리를 쓰는 곳이 35%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다만,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공개하는 것만으로는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배터리 안전성은 단순히 제조사뿐만 아니라 배터리 구성 물질과 외형적 분류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배터리 정보를 알아야 합니다.
전기차 배터리 종류
전기차 배터리의 종류는 주로 배터리의 구성 재료와 구조에 따라 구분됩니다. 대표적으로는 리튬 이온 배터리(Lithium-ion Battery) 계열이 사용되며, 이 계열 내에서도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아래는 주요 전기차 배터리 종류에 대한 설명입니다.
NCM 배터리 (니켈-코발트-망간)
니켈, 코발트, 망간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배터리입니다. 에너지 밀도가 높아 한 번 충전으로 더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데, 화학적 안정성이 비교적 낮아서 고온에서 발열이 증가할 수 있고, 화재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주로 성능이 중요한 고급 전기차에 사용됩니다.
NCA 배터리 (니켈-코발트-알루미늄)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배터리입니다. 에너지 밀도와 출력이 매우 높아,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차량에 적합한데요. 화학적 안정성은 NCM보다 약간 높지만, 여전히 관리가 필요합니다. 고성능 전기차, 특히 테슬라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LFP 배터리 (리튬-인산철)
리튬, 철, 인을 사용한 배터리입니다. 정성이 매우 높아, 화재 위험이 낮고 수명이 깁니다. 그러나 에너지 밀도는 낮아 한 번 충전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안전성이 중요한 차량, 특히 상용차나 저가형 전기차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Solid-State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로 구성된 배터리입니다. 안전성이 매우 높고, 에너지 밀도도 높아 미래형 전기차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는 상용화 초기 단계로, 양산이 제한적입니다. 차세대 전기차에서의 사용이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배터리 (배터리 폼팩터)
- 각형 배터리: 금속 케이스에 배터리 셀이 들어있는 형태로, 내구성이 좋고, 외부 충격에 강합니다.
- 원통형 배터리: 원통형 모양의 배터리 셀로, 주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지만, 테슬라 같은 일부 전기차에서도 사용됩니다.
- 파우치형 배터리: 얇은 파우치 형태로, 에너지 밀도가 높지만 외부 충격에 약할 수 있습니다.
LMO 배터리 (리튬-망간 산화물)
리튬과 망간 산화물을 사용한 배터리입니다. 안정성이 높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에너지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비교적 저가형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됩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 원인은?
전기차 배터리 화재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열 폭주
배터리 셀이 과열되면서 내부의 화학 반응이 통제 불가능한 상태로 진행되는 현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셀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인접한 셀로 열이 전파되면서 연쇄적으로 폭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충전, 과방전, 외부 충격, 내부 단락(쇼트 서킷) 등이 열 폭주의 주요 원인입니다.
2. 내부 단락
배터리 내부의 양극과 음극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단락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내부 단락은 배터리 내부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조 결함, 외부 충격으로 인한 배터리 손상, 전해질 누출 등이 단락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3. 과충전 및 과방전
배터리를 권장 용량 이상으로 충전하면 내부 전해질이 분해되고, 가스가 발생하면서 압력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가 너무 많이 방전되면 내부 전해질이 불안정해지고, 충전 시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흐르면서 열 폭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외부 충격
전기차가 사고를 당하거나 배터리에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터리 셀이 손상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파우치형 배터리는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 배터리팩의 보호 구조물 손상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5. 배터리 결함 및 제조 오류
배터리 자체의 결함이나 제조 과정에서의 오류로 인해 내부 단락이나 전해질 누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함은 장기간 사용하면서 문제가 드러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불량한 제조 공정, 품질 관리 부족, 설계 결함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죠.
6. 충전 장치 및 인프라 문제
전기차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충전기나 충전 인프라에 문제가 있으면 배터리에 비정상적인 전류가 공급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량한 충전기, 비정상적인 전압 공급, 충전 중단 후 재시작 등의 문제로 인한 과열 등이 있습니다.
7. 외부 요인
고온, 습기, 수분 침투 등 외부 환경 요인도 배터리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는 배터리의 화학적 안정성이 떨어져 화재 위험이 증가합니다. 폭염, 침수, 장기간의 직사광선 노출 등이 외부 요인에 해당합니다.
인천 아파트 전기차 화재, 리튬이온 배터리 위험성과 대책 필요성
최근 인천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인해 72대의 차량이 전소되고, 313명의 주민이 이재민이 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는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건이었는데요.
전기차 화재는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의 ‘분리막’ 손상에서 시작됩니다. 과충전, 외부 충격, 배터리 관리 회로(BMS)의 불량 등이 화재의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분리막이 손상되면 내부 단락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이 폭발하면서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 차량인 벤츠 EQE 전기차에 사용된 중국산 NCM 배터리가 고용량을 견디지 못해 화재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NCM 배터리의 높은 성능과 에너지 밀도에도 불구하고 화재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얘기죠.
전기차 화재는 내연기관 차량 화재와 달리,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고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대피할 시간이 부족하고, 특히 지하주차장에서의 전기차 화재는 밀폐된 공간에서 더욱 위험하며, 화재 진압도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전기차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소방 시설이 미비한 지하주차장, 주차타워, 카페리 등에 전기차 출입을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고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충전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전소를 지상으로 이전하거나, 필요한 경우 정부가 강력한 입법을 추진하는 게 어떻겠냐는 의견도 있는 중.
더불어, 리튬이온 배터리의 분리막 강화, 열폭주 차단 기술 개발, 품질 규격 관리 강화 등이 필요하며, 싸구려 배터리의 생산 및 수입을 규제하고, 배터리 관리 책임을 강화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해보입니다.